9월 생산자물가 0.4% 올라
유가 급등시 불안 불안 확산
viewer
서울 한 대형마트. 연합뉴스
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9월 생산자물가가 3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. 한국은행 예상보다 물가 상승세가 높아진 가운데 중동 사태 전개 양상에 따라 유가가 급등할 경우 물가 불안이 확산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.
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1.67(2015년=100)로 전월보다 0.4% 상승했다. 생산자물가는 6월(-0.2%)까지 하락했으나 7월(0.3%) 상승 전환한 후 8월(0.9%)에 이어 9월까지 석 달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. 전년 동월 대비로도 1.3% 상승해 2개월 연속 올랐다.
먼저 공산품이 0.8% 올랐다. 제1차 금속제품(-0.2%) 등이 내렸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(6.6%),중동사태불안한데생산자물가개월연속상승익절 화학제품(1.5%) 등이 오른 영향이다. 세부 품목을 살펴보면 나프타(7.4%), 경유(6.0%), 벤젠(11.0%), 자일렌(5.6%) 등이 일제히 상승했다. 플래시메모리도 5.0% 올랐다.
농림수산품은 농산물(-1.5%)과 수산물(-0.9%)이 내렸으나 축산물이 3.5% 오르면서 전월보다 0.2% 상승했다. 무(-26.4)나 수박(-31.8%), 우럭(-11.8%) 등의 가격이 떨어진 반면 쇠고기(12.4%)와 돼지고기(6.0%)가 올랐다. 청탁금지법 선물 가액 상향, 개학으로 인한 단체급식 재개 등의 영향이다.
전력·가스·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 전력(14.6%)을 중심으로 0.8%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. 서비스 생산자물가는 0.1% 하락했는데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(-0.4%), 운송 서비스(-0.3%) 등이 내린 영향이다.
유가 상승으로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가 연쇄적으로 오르면서 소비자물가도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.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.7%로 한은이 당초 예상했던 3.4%보다 높은 수준이다. 앞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높아지면서 목표 수준인 2.0%로 수렴하는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고 공식화한 상태다.
< 저작권자 ⓒ 서울경제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>※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,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顶: 3踩: 89869
중동 사태 불안한데…생산자물가 3개월 연속 상승
人参与 | 时间:2023-12-10 02:21:35
相关文章
- ‘기념일 규정’개정령안 공고
- “한국·G7·EU, 中에 ‘北 석유밀수 막으라’ 촉구 예정”
- “한국·G7·EU, 中에 ‘北 석유밀수 막으라’ 촉구 예정”
- '100만 인파' 한강 세계불꽃축제 앞두고…정부 '안전관리에 만전'
- [아침 묵상] “진정한 스승은 유리처럼 투명하다”
- 韓 내년 성장률 2%도 안심 못한다
- [CMG중국통신] 中 상반기 수출입 총액 3561조원 ‘상반기 신기록’
- [단독]양수발전 등 '스토리지믹스'로 신재생 출력 보완
- 필리핀 대학교서 미사 중 폭탄 테러…4명 사망·50명 부상
- [뉴욕모닝브리핑](11월30일) < 국제뉴스 < 기사본문
评论专区